법정지상권 토지 건물 소유자 동일 저당권설정 경매등 소유권 분리
법정지상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저당권 설정 당시에 토지와 건물이 동일한 소유자에게 속하고 있어야 하는데요 따라서 저당권설정 당시에 토지와 건물이 각각 다른 사람의 소유에 속하고 있었던 때에는 법정지상권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토지 건물의 소유자 동일 다만 토지와 미등기건물이 동일소유자에게 속할 당시 저당권이 설정되었다가 토지 또는 미등기건물이 제삼자에게 양도된 경우라면 토지와 미등기건물의 소유자가 다른 경우가 되었음 그 제삼자가 경매가 진행되기 전까지 미등기건물에 대하여 소유권 보존등기를 경료하면 그 제3자에게는 법정지상권이 성립합니다 그리고 토지와 그 지상건물이 동일한 소유자에게 속하였던가 건물만을 양도하고도 양수인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지 못하고 있는 사이에 토지 위에 설정된 저당권이 실행된 경우에도 여전히 그 소유권은 형식상 양도인에게 남아있으므로 그 양도인은 법정지상권을 취득한것이 됩니다 그리고 저당권 설정 당시에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동일하였다면 저당권 설정 이후에 토지와 건물이 각각 다른 사람의 소유에 속하게 된때에도 법정지상권은 성립합니다
법정지상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저당권 설정 당시에 토지와 건물의 어느 한쪽이나 또는 양자 위에 저당권이 설정되설정된 있어야 합니다 토지와 그 지상 건물의 어느 쪽에도 저당권이 설정되지 않은 때에는 민법 제366조의 법정지상권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정한 경우에는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이 성립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법정지상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경매에 의하여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분리되어야 합니다 토지와 건물이 동일인에게 속하였더라고 경매로 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법정지상권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정한 경우에는 이른바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이 성립할 수도 있습니다 경매에는 저당권의 실행에 따른 경매 임의 경매 뿐만 아니라 저당권자가 채무명의에 의하여 강제경매한 경우 또는 저당권 있는 부동산에 관하여 일반채무자가 채무명의에 기하겨 강제경매한 경우 그리고 체납처분에 의한 공해의 경우에도 법정지상권 성립은 인정됩니다 경매로 인하여 토지와 건물이 다른 소유자에게 속해야 하는데요 따라서 토지와 건물 위에 저당권이 설정된 물건이 경매되었을 때 낙찰자가 동일한 소유자로 된 경우에는 법정지상권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1. 법정지상권의 개념과 성립 요건
법정지상권은 토지와 건물이 동일 소유자에게 속해 있다가, 저당권 실행이나 경매 등으로 인해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분리되는 경우, 건물 소유자가 토지를 사용할 권리를 가지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민법 제366조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건물의 철거를 방지하고 건물 소유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1.1 성립 요건
법정지상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요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 저당권 설정 당시의 소유자 동일성:
- 저당권이 설정될 당시 토지와 건물이 동일한 소유자에게 귀속되어 있어야 합니다.
- 저당권 설정 이후에 토지와 건물이 각각 다른 사람에게 양도되더라도 법정지상권은 여전히 성립합니다.
- 저당권 설정 대상:
- 토지 또는 건물 어느 하나에 저당권이 설정되어야 합니다.
- 토지와 건물 어느 쪽에도 저당권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법정지상권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 경매 또는 강제집행 등 소유권 분리:
- 경매를 통해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분리되어야 합니다.
- 경매로 인해 소유자가 분리되지 않은 경우 법정지상권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1.2 법정지상권의 목적
법정지상권의 목적은 건물 소유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건물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 이는 건물 철거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 기존의 건축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목적을 지닙니다.
2. 법정지상권의 세부 요건과 사례
2.1 토지와 건물이 동일 소유자에 속한 경우
법정지상권은 토지와 건물이 동일 소유자에게 귀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당권이 설정되었을 경우 성립합니다. 예를 들어, A가 토지와 건물을 소유하고 있다가 그 토지에 저당권을 설정한 뒤, 토지가 경매로 B에게 넘어간 경우 건물 소유자인 A는 법정지상권을 취득하게 됩니다.
그러나 저당권 설정 당시 토지와 건물이 서로 다른 소유자에게 귀속되어 있다면, 법정지상권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이는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 분리라는 전제 조건이 충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2.2 미등기 건물의 경우
토지와 미등기 건물이 동일한 소유자에게 속한 상태에서 저당권이 설정되었으나, 이후 토지 또는 미등기 건물이 제삼자에게 양도된 경우, 미등기 건물 소유자가 경매 전에 소유권 보존등기를 마치면 그 제삼자에게 법정지상권이 성립합니다.
예를 들어, C가 토지와 미등기 건물을 소유하고 있었으나, 토지가 경매로 D에게 낙찰된 경우, C가 경매 전 미등기 건물에 대한 소유권 보존등기를 완료하면 D는 법정지상권을 인정받게 됩니다.
2.3 건물만을 양도한 경우
토지와 건물이 동일한 소유자에게 속해 있다가 건물만을 양도하고, 양수인이 소유권 이전등기를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 토지에 저당권이 설정되고 경매가 진행된 경우에도 법정지상권은 성립합니다. 이는 형식적으로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동일한 상태로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저당권 실행으로 인해 토지가 제삼자에게 경락되더라도, 건물 양도인은 법정지상권을 취득하게 됩니다. 이는 건물 소유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장치입니다.
3. 경매와 법정지상권의 관계
경매를 통한 소유권 분리는 법정지상권 성립의 중요한 요건입니다. 법정지상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경매 등으로 인해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분리되어야 합니다. 토지와 건물이 동일 소유자에게 속하더라도 경매로 인해 소유자가 분리되는 경우 법정지상권이 성립합니다.
3.1 경매 종류에 따른 성립 요건
경매는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임의경매: 저당권자의 신청에 의해 진행되는 경매
- 강제경매: 채무명의에 의한 강제 집행으로 진행되는 경매
- 공매: 체납처분에 의해 공적 기관에서 실시하는 매각 절차
위와 같은 경우, 경매를 통해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분리되면 법정지상권이 성립합니다. 반면, 경매로 인해 토지와 건물이 동일한 소유자에게 낙찰될 경우 법정지상권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4.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은 민법상의 법정지상권과 달리, 관습에 의해 인정되는 경우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성립합니다:
- 토지와 건물이 동일 소유자에게 귀속되어 있다가 경매로 인해 분리된 경우
-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분리된 상태에서 토지에만 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은 실질적 이용 관계를 보호하기 위해 인정됩니다.
법정지상권은 토지와 건물이 동일 소유자에게 속해 있다가 저당권 실행이나 경매 등으로 인해 소유자가 분리될 경우 건물 소유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중요한 권리입니다. 이를 통해 건물의 철거를 방지하고, 경제적, 사회적 안정을 도모합니다. 법정지상권의 성립 요건은 저당권 설정 당시의 소유자 동일성, 경매에 의한 소유권 분리 등이 있으며, 일정한 경우 관습법상 법정지상권도 성립할 수 있습니다.